28일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2인 이상 도시근로자가구 중 대학교 졸업 학력을 갖고 있는 가구주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346만1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의 323만9천원에 비해 6.9% 늘어났다.
반면 고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같은 기간 216만6천원에서 223만5천원으로 3.2% 늘어나 대졸자에 비해 상승폭이 절반에도 못미쳤고, 초등학교 졸업 가구주는 올해 2분기 월 평균 118만8천원의 근로소득을 올려 지난해 2분기 120만1천원에 비해 오히려 1.1% 감소했다.
다만 중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지난해 2분기 135만4천원에서 올해 2분기 153만6천원으로 13.4% 증가하면서 대졸자 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대졸자의 근로소득은 고졸의 1.54배, 중졸의 2.25배, 초졸의 2.91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기준으로 대졸-고졸 임금격차는 2003년 1.43배, 2004년 1.44배, 2005년 1.45배, 2006년 1.46배, 2007년 1.49배에 이어 올해는 1.5배를 넘어섰고, 대졸-초졸 임금격차 역시 2003년 2.32배, 2004년 2.42배, 2005년 2.62배, 2006년 2.76배로 계속 상승하다 2007년에는 2.69배로 낮아졌지만 2008년에는 다시 대폭 상승했다.
대졸-중졸의 경우에는 2003년 1.93배에서 지난해 2.39배까지 높아졌다가 올해는 2.25배로 다소 낮아졌다.
학력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성과주의 기업문화 정착 등으로 고학력 숙련노동자와 저학력 비숙련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른 대기업이나 수출기업들이 주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를 채용하면서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발생하고 이는 다시 소득 양극화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올해 2분기 대졸 가구주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5년 전인 2003년 2분기의 259만5천원에 비해 33.4% 늘어났다.
반면 고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5년 전의 181만원에 비해 23.5% 늘어나는데 그쳤고, 중졸과 초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2003년 2분기 134만4천원과 111만7천원에서 5년 동안 14.3%와 6.3% 올라 상승률이 대졸자에 크게 못 미쳤다.
<표> 2분기 도시가구주 학력별 근로소득 격차
(단위 : 배)
┌───-----─┬──-----───┬─-----────┬─----───┬─----───┬──----──┬----────┐
│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대졸-초졸 │ 2.32 │ 2.42 │ 2.62 │ 2.76 │ 2.69 │ 2.91 │
├──----───┼───-----──┼─-----────┼─----───┼─----───┼──----──┼─----───┤
│대졸-중졸 │ 1.93 │ 1.97 │ 2.18 │ 2.37 │ 2.39 │ 2.25 │
├──----───┼─-----────┼─-----────┼─----───┼─----───┼─----───┼----────┤
│대졸-고졸 │ 1.43 │ 1.44 │ 1.45 │ 1.46 │ 1.49 │ 1.54 │
└─────----┴──-----───┴─-----────┴─----───┴─----───┴----────┴─----───┘
기사입력 2008-08-28 06:19 최종수정2008-08-28 09:50
pdhis959@yna.co.kr
=====================================================================================================
우리나라 직장인의 처우문제는 물론 기업주의 생각여부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명 문제는 있다.
어쩌면 업무의 량과 질에 따라 평가를 한다고는 하지만 그 이전에 학력 즉, 출신을 따지는 것부터가
문제가 된다.
위의 뉴스(통계)만 보더라도 격차가 너무 많다는 것을 느끼지만 여기에 나타나지 않는 진급 및 직책에
부여되는 혜택 등을 따지면 출신에 따라 희비가 엄청나다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처우의 문제가 또다른 것에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상대적으로 높은 혜택(연봉포함) 때문에 대다수의 집행권을 가진 중역급들이 그 혜택을 보장받기 위해서
상식과 질서를 파괴하면서 까지 CEO에게 점수를 따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파생되는 문제가 기업은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이 필요한데 전체 종업원들이 호응을
않게 되어 집중력이 떨어지고 아울러 개개인별로 쪼개어 또다른 생존투쟁을 벌이므로써 불필요한
피해자가 생기고 기업이 나가고자 하는 전략은 탄력이 떨어지고 만다.
즉, 중역은 1회용의 전략을 구사하기 일쑤고 그것을 본받아(?) 그 이하 직급에서는 줄줄이 주인의식
보다는 보신을 위해 일을 하게 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어느 나라는 중역은 종업원 평균임금의 몇배 이상은 금하고 있다는 뉴스를 본 것 같다.
그 제도를 도입한다면 중역이하 실권자들이 돈의 노예(?) 보다는 명예나 가치관에 의해서 움직이고
그로 인하여 기업이 바른길로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꿈같은 생각을 해 본다.
pdhis959@yna.co.kr
=====================================================================================================
우리나라 직장인의 처우문제는 물론 기업주의 생각여부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명 문제는 있다.
어쩌면 업무의 량과 질에 따라 평가를 한다고는 하지만 그 이전에 학력 즉, 출신을 따지는 것부터가
문제가 된다.
위의 뉴스(통계)만 보더라도 격차가 너무 많다는 것을 느끼지만 여기에 나타나지 않는 진급 및 직책에
부여되는 혜택 등을 따지면 출신에 따라 희비가 엄청나다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처우의 문제가 또다른 것에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상대적으로 높은 혜택(연봉포함) 때문에 대다수의 집행권을 가진 중역급들이 그 혜택을 보장받기 위해서
상식과 질서를 파괴하면서 까지 CEO에게 점수를 따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파생되는 문제가 기업은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이 필요한데 전체 종업원들이 호응을
않게 되어 집중력이 떨어지고 아울러 개개인별로 쪼개어 또다른 생존투쟁을 벌이므로써 불필요한
피해자가 생기고 기업이 나가고자 하는 전략은 탄력이 떨어지고 만다.
즉, 중역은 1회용의 전략을 구사하기 일쑤고 그것을 본받아(?) 그 이하 직급에서는 줄줄이 주인의식
보다는 보신을 위해 일을 하게 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어느 나라는 중역은 종업원 평균임금의 몇배 이상은 금하고 있다는 뉴스를 본 것 같다.
그 제도를 도입한다면 중역이하 실권자들이 돈의 노예(?) 보다는 명예나 가치관에 의해서 움직이고
그로 인하여 기업이 바른길로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꿈같은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