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17일 토요일
어제 밤에는 곰오디오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유투브에서 들은 노래를 녹음했는데 졸지에 녹음된 파일을 보려고 하니 파일이 돌연 사라져서 이게 뭔 일인가 궁금도 하고 예전에 랜섬웨어에 걸려서 많은 파일이 감염되고 결국 파일복구를 포기한 일이 있어서 걱정도 됐다. 그래서, 백신으로 검사를 하고 랜섬웨어를 감지하는 무료버전의 감시프로그램을 돌리니 랜섬웨어 경고가 떠 있었다. 그래서, 오늘은 부랴부랴 그 파일들을 추적하여 REGEDIT를 이용해서 삭제를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결국 생각해 낸 방법이 궁금해서 GPT에다 물어봤더니 아래와 같은 답변들이 와서 혹시 몰라 다음을 위해 기록을 해 둔다.
문의 : WINDOWS 10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컴퓨터를 점검하다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감염된 랜섬웨어 파일은 지워지지도 않는데 이걸 지우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는지가 궁금하고 이 감염된 상태로 WINDOWS11로 업데이트를 하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최적의 방법을 찾아줘.
ChatGPT의 말:
랜섬웨어에 감염된 상태에서 Windows 11로 업데이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왜 Windows 11 업그레이드는 위험한가?
랜섬웨어는 시스템 깊숙한 곳에 존재할 수 있음
→ 단순한 OS 업그레이드로 랜섬웨어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더 깊숙이 자리잡거나 더 강력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중 중요한 파일 손상 가능성
→ 감염된 시스템 상태에서 업그레이드 시 오류, 데이터 손실, 부팅 불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존 감염된 파일이 새로운 시스템까지 전파
→ 감염된 파일이 백업이나 드라이브를 통해 다시 작동할 수 있음.
🔍 감염 확인 및 처리 절차 (최적의 방법)
1️⃣ 인터넷 연결 차단
유선이든 무선이든 즉시 네트워크 연결을 끊습니다.
이유: 추가 파일 다운로드나 내부망 확산 방지.
2️⃣ 신뢰할 수 있는 백신으로 정밀 검사
보조 PC에서 다운로드한 부팅 가능 백신 툴 사용 (예: Kaspersky Rescue Disk, Bitdefender Rescue CD 등).
감염된 PC를 부팅 디스크로 부팅 → 랜섬웨어 탐지 및 격리 시도.
3️⃣ 감염된 파일 격리 or 삭제
일반적으로 Windows 안에서 감염된 파일은 삭제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Rescue Disk 사용 시 시스템 외부에서 삭제가 가능함.
4️⃣ 데이터 백업 (감염되지 않은 것만)
외부 드라이브에 중요한 파일을 백업하되, 모든 파일을 다 백업하지 마세요.
문서, 사진, 영상 파일 등만 백업. 실행 파일(.exe)이나 스크립트(.js, .bat 등)는 절대 백업 금지.
💡 최적의 해결 방안
✅ 권장 방법: 포맷 후 클린 설치
외부에서 백업할 수 있는 안전한 파일만 저장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 Windows 11 클린 설치
설치 후 백신 프로그램 즉시 설치 및 전체 검사
백업해둔 파일을 복원하되, 하나씩 검사하면서 가져오기
🚫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감염된 상태로 Windows 11 업그레이드
암호화된 파일 복구 시 유료 해커 툴 다운로드
랜섬웨어에 몸값 지불 (복구 보장 없음)
🔒 추가 보안 팁
Windows Defender 외에 추가 백신 프로그램 함께 운용 (예: Malwarebytes)
파일 확장자 숨기기 활성화 (탐색기 → 보기 → 파일 확장자)
의심스러운 이메일, 사이트 클릭 금지
정기적인 백업 습관화
필요하다면 감염된 파일명을 알려주시면, 어떤 랜섬웨어인지 분석하고 복구 가능성 여부도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또는 원격으로 확인하는 절차나 툴도 안내해드릴 수 있어요.
나의 말:
이것이 삭제불가 하다 (APP CHECK에서 알려준 파일이미지 보여줌)
ChatGPT의 말:
이미지에서 확인한 파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diff
복사
편집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 thumbcache_idx.db
- thumbcache_48.db
- thumbcache_256.db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IconCacheToDelete\
- iconcacheToDelete\icon1C07.tmp
- iconcacheToDelete\icon1C08.tmp
- iconcacheToDelete\icon1C19.tmp
이 thumbcache 및 iconcache 관련 .db, .tmp 파일들은 Windows 시스템이 파일 탐색기에서 아이콘과 썸네일을 빠르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캐시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이 삭제되지 않는 것은 랜섬웨어 때문이 아니라, 시스템이 해당 파일들을 사용 중이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삭제가 안 되는 이유
탐색기(Explorer.exe)가 해당 캐시 파일을 사용 중
일부 파일은 시스템 재시작 후 자동으로 삭제될 예정 (IconCacheToDelete는 재부팅 시 정리됨)
파일이 잠겨 있음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 중)
🧹 안전하게 삭제하는 방법
✅ 방법 1: 탐색기 종료 후 명령어로 삭제
작업 관리자 열기 (Ctrl + Shift + Esc)
Windows 탐색기 프로세스 종료
"Windows 탐색기"를 선택하고 "작업 끝내기" 클릭
작업 관리자 → 파일 → 새 작업 실행
cmd 입력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체크하고 확인
명령어로 캐시 삭제:
bash
복사
편집
cd /d %LocalAppData%\Microsoft\Windows\Explorer
del thumbcache*.db /f /s /q
del IconCacheToDelete\*.tmp /f /s /q
다시 작업 관리자에서 파일 > 새 작업 실행 > explorer.exe 입력 → 탐색기 다시 시작
✅ 방법 2: 재부팅 후 안전모드에서 삭제
Windows 재부팅
F8 또는 Shift + 재시작 → 고급 옵션 → 안전 모드 진입
해당 폴더에 가서 수동 삭제 시도
🔍 참고: 이 파일들이 랜섬웨어 흔적은 아님
이 파일들은 시스템 캐시 파일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없습니다:
암호화된 확장자 (예: .locked, .crypted, .pay)
비정상적인 파일 이름 (랜덤한 문자열)
랜섬노트(README.txt, HOW TO DECRYPT FILES.txt) 존재
→ 따라서 이 파일이 삭제되지 않는다고 해서 감염되었다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 추가 조치 권장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 실행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Windows 보안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 검사 옵션 >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
Malwarebytes 또는 Kaspersky 같은 보조 백신으로 정밀 검사
감염 여부가 확실하다면 앞서 안내한 Rescue Disk 부팅 검사 → 클린 설치 절차 진행
필요하다면 해당 PC 상태 진단을 위한 도구 (예: Process Explorer, Autoruns) 사용법도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감염 징후가 있는지 로그 파일로 확인도 가능하니 말씀 주세요.
나의 말: 내가 무료로 쓰는 checkmal 이란 회사의 AppCheck 프로그램을 사용 중인데 랜섬웨어 주의(알람)이 떠서 괜히 겁나네.
ChatGPT의 말:
네, 이미지와 설명을 보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상황 요약
AppCheck(체크멀)에서 "랜섬웨어 감지" 알림 발생
대상 파일: Windows 썸네일 캐시 및 아이콘 캐시 (thumbcache, iconcache)
파일 삭제가 실패했지만, 복원된 음악 파일들도 있음 (예: 아이_18.mp3, 아이_23.mp3 등)
감지 시간: 2025-05-16 오후 10시경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실제 랜섬웨어 감염이라기보다는 "행위 기반 오탐 가능성"이 큽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설명
⚠ 감지된 파일들 모두 Windows 시스템 캐시 파일들이며, 랜섬웨어가 직접 생성하는 경로가 아님
🔁 복원 파일 GOMVoice2024 폴더의 .mp3가 복원됨 → AppCheck가 랜섬웨어 행위로 오인하고 자동 백업 후 복원한 흔적
❌ 삭제 실패 사용 중인 시스템 파일이기 때문에 잠겨 있어서 삭제 안 되는 것, 감염 때문은 아님
🧪 AppCheck가 왜 경고를 띄웠는가?
AppCheck는 실제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것보다는, "랜섬웨어로 의심되는 행동"을 탐지합니다.
즉, 어떤 프로세스가 짧은 시간에 .db 파일이나 .mp3 파일들을 다수 수정/삭제하려고 하면 의심 행동으로 감지됩니다.
이런 경우 Windows 업데이트 또는 미디어 인덱싱, 캐시 재생성 같은 정상 동작도 오탐지될 수 있습니다.
✅ 지금 당장 해야 할 조치
1. AppCheck 로그 다시 확인 (랜섬웨어 이름이 나오면 공유해 주세요)
"탐지된 랜섬웨어 이름"이 명시되어 있으면, 그 이름을 알려주세요.
단순히 "랜섬웨어 행위 감지"만 나왔다면 거의 100% 오탐 가능성
2. 아래 무료 백신 중 하나로 이중 확인
백신 링크
Malwarebytes Free 고급 랜섬웨어 탐지
Kaspersky Virus Removal Tool 무설치 정밀 검사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Windows 설정 > Windows 보안 > 검사 옵션 > 오프라인 검사) 재부팅 검사
3. 중요한 파일 백업
오탐일 가능성이 크지만, 혹시 모르니 USB 등 외부 저장장치에 중요한 파일 백업
🧹 불안할 때의 클린 처리 절차 (권장 순서)
중요한 파일 백업
위 백신 중 1~2개로 정밀 검사
감염 흔적 없으면 문제 없음
불안하면 Windows 11 클린 설치 (하지만 감염 증거가 없다면 굳이 하지 않아도 됨)
🔐 추가로 추천하는 설정
AppCheck > 실시간 보호 > 행위 기반 감시만 유지
자동 백업 기능은 켜두세요
Windows 시스템 보호 (복원 지점 만들기) 기능도 함께 켜두기
📩 도와드릴 수 있는 것
AppCheck 로그 파일 첨부해 주시면 더 정확히 분석 가능
프로세스 점유 상태 확인 (잠긴 파일들 강제 삭제 방법)
원하시면 AppCheck를 보완할 무료 백신 조합 추천도 가능
필요하신 방향 알려주세요!
나의 말: ok 고마워. 일러준 파일로 검색부터 해볼께
ChatGPT의 말:
좋습니다! 천천히 검색해보시고, 혹시라도 아래와 같은 상황이 생기면 언제든지 도움드릴게요:
특정 파일이나 프로세스가 의심스럽게 느껴진다
AppCheck 로그에 정확한 랜섬웨어 이름이 뜬다
백신 검사 결과 이상이 발견되거나 삭제 불가한 항목이 생긴다
Windows 11 클린 설치 전에 꼭 체크해야 할 것이 궁금하다
필요할 때 언제든 편하게 물어봐 주세요. 안전하게 문제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나의 말: 이게 최근 로그 내용이다.
ChatGPT의 말:
공유해주신 로그 내용을 보면 AppCheck에서 랜섬웨어 행위가 의심되어 일부 파일을 보호 차원에서 차단 또는 복원한 기록이 확인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실제 감염은 아닌 오탐 가능성이 큽니다.
✅ 로그 분석 요약
항목 내용
🕑 시간 2025-05-16 오후 10:17:13 경에 집중적으로 발생
📂 파일 mp3, jpg, dat 파일 등 여러 종류 감지됨
📌 위치 대부분 C:\Users\...\AppData\Local\Temp 또는 음악 폴더
🔁 처리 결과 대부분 "파일을 삭제하였습니다" 또는 "삭제하지 않았습니다"로 표시됨
❗ 로그 메시지 "경역소" (오타일 가능성, 아마 "경고" or "격리")로 표시되며, 랜섬웨어 이름은 명시되어 있지 않음
🔍 해시(MD5) 표시 해당 파일의 변경 여부 추적용. 일반적으로 정밀 분석에 사용되며, 꼭 악성이라는 뜻은 아님
🔐 중요한 점
1. "랜섬웨어 감염"이라고 확정할 수 있는 명확한 이름이나 진단 없음
AppCheck는 행위 기반 감지이므로, 정당한 프로그램의 대량 파일 접근을 랜섬웨어처럼 오탐지할 수 있습니다.
예: 미디어 정리 프로그램, 썸네일 캐시 재생성, GOM, iTunes 등의 미디어 스캔
2. AppCheck의 보호 기능이 정상 작동한 흔적
음악 파일들 일부가 삭제되지 않고 보존됨 (AppCheck가 자동 복원 기능 작동한 것으로 보임)
📌 현재 상태에 대한 판단
항목 판단
실시간 위협 없음 (현재 감염 증거 없음)
AppCheck 대응 정상 작동 중 (자동 복원, 차단)
데이터 손실 여부 일부 임시 캐시 파일이 삭제되었을 가능성은 있음. 중요한 사용 데이터는 대부분 보존
오탐 가능성 높음 (정상적인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 작동이 오탐된 듯 보임)
✅ 권장 조치
1. AppCheck 예외 설정 등록
반복 오탐을 줄이기 위해 아래 경로를 예외로 추가하세요:
C:\Users\%username%\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C:\Users\%username%\AppData\Local\Temp\
2. 정밀 악성코드 검사 (추가 확인용)
✅ Malwarebytes 무료 버전
또는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설정 > Windows 보안 > 검사 옵션 > 오프라인 검사)
3. Windows 11 업그레이드 관련 조언
상태 설명
감염 상태에서 업그레이드 ❌ 권장하지 않음. 감염된 파일이나 설정이 새 시스템에 남을 가능성 있음
정밀 검사 후 이상 없음 ✅ 클린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는 안전함
최적의 방법은:
중요 파일 백업 후, 정밀 검사로 감염 아님을 확인하고 → Windows 11 클린 설치 (포맷 포함) 진행
필요하시면 아래도 도와드릴 수 있어요:
AppCheck 예외 설정 스크린샷 안내
Windows 11 클린 설치 방법 (USB 제작 포함)
백신 검사 결과 판단 도와드리기
필요하신 방향 말씀만 주세요!
나의 말: 오늘은 바빠서 여기까지만 할께.
ChatGPT의 말:
알겠습니다! 오늘 정리하신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대응 하셨어요.
시간 괜찮을 때 나중에 이어서 진행하셔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다음에 다시 궁금한 점 생기면 편하게 찾아주세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고, 걱정 너무 하지 마세요. 😊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