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근로시간 OECD '최고'..임금은 '하위권'
기사입력 2008-07-21 06:16
연간 2천261시간 일.. 2만5천379달러 벌어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연간 2천시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절대적 임금 수준은 OECD 평균의 60% 수준에 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일한 시간에 비해 벌이는 시원찮은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기획재정부와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지난해 기준 2천261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1983년 2천714시간, 1994년 2천453시간, 2003년 2천378시간, 2004년 2천366시간, 2005년 2천341시간, 2006년 2천294시간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2천시간을 넘었다.
이러한 근로시간은 다른 회원국들에 비해 최소 200시간, 최대 900시간 가량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에 이어 폴란드(1천953시간), 슬로바키아(1천947시간), 체코(1천914시간), 아이슬란드(1천822시간), 일본(1천808시간) 등도 연간 근로시간이 1천800시간이 넘어 비교적 노동강도가 센 나라로 분류됐다.
이어 미국(1천798시간), 그리스(1천783시간), 헝가리(1천780시간), 캐나다(1천733시간), 포르투갈(1천675시간), 영국(1천655시간), 스페인(1천621시간), 룩셈부르크(1천541시간)의 근로자들은 연간 1천500시간 이상 일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스트리아(1천474시간), 벨기에(1천461시간), 프랑스(1천457시간), 독일(1천353시간)의 근로자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았다.
이처럼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길지만 임금은 회원국 평균에도 못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노동강도에 비해 임금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내내 풀타임(full-time)으로 고용 상태를 유지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1인당 평균 임금은 2006년 우리나라가 연 2만5천379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3만9천743달러)의 64%에 불과했다.
스위스(6만384달러)가 회원국 중 유일하게 6만달러가 넘었고, 룩셈부르크(5만9천638달러), 노르웨이(5만6천629달러), 덴마크(5만6천598달러), 아일랜드(5만5천985달러)의 풀타임 근로자 평균 임금도 5만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
미국(4만7천688달러), 영국(4만7천248달러), 벨기에(4만5천401달러), 네덜란드(4만5천337달러), 스웨덴(4만86달러) 등은 4만달러 이상이었고, 핀란드(3만9천891달러), 프랑스(3만9천868달러), 독일(3만8천626달러), 일본(3만6천601달러), 이탈리아(3만1천995달러)의 근로자들도 연간 3만달러 이상의 임금을 받았다.
반면 스페인(2만7천735달러)과 그리스(2만5천934달러)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연간 3만달러에 못미쳤고, 포르투갈(1만8천455달러), 헝가리(1만2천97달러), 체코(1만1천292달러), 폴란드(1만121달러), 슬로바키아(8천675달러) 등은 우리나라보다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이 낮았다.
각국의 물가수준을 고려한 구매력지수(Purchasing Power Parity)를 기준으로 각국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우리나라가 1인당 평균 3만2천472달러로 OECD 평균(3만8천252달러)의 85% 수준으로 집계됐다.
pdhis959@yna.co.kr
===========================================================================================
노동강도란 근로시간만 가지고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근로시간이 많은 것과 양질의 노동 즉 생산성이 얼마나 높으냐? 또 품질은 얼마나 높으냐? 는 것은 별개라고 생각한다.그렇지만 임금은 엄연히 노동시간과 관계가 있고 양질의 노동을 끌어내는 것과도 상통한다고 본다.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것은 통계치도 좋지만 기업주 또는 CEO들이 얼마나 근로자를 가족같이 대하느냐가 양질의 노동을 끌어낼 수 있는가의 관건이라고 본다.
지금은 어느기업 할 것 없이 각사마다 노무관리를 하고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회사는 노무관리를 없애고 고충처리부를 더 늘리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근로자가 아무 걱정없이 근로에만 충실할 때야 말로 양질의 노동 즉 생산성과 품질이 동시에 따라주지 않을까?
노무관리로 근로자들을 압박하고 이간질 시켜 힘의 분열로 단체행동을 막고는 있지만 영원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또, 현재 CEO들이 노무를 믿고 걱정없이 기업운영도 가능하겠으나 근로현장이 근로자와 따로 돌아간다면 결국 문제는 발생되고 그 문제는 곪아 터지는 것이 곧 상식이 아닐까?
개혁적인 노무관리와 CEO mind를 변화시켜 이런 통계는 안나왔으면 싶다.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연간 2천시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절대적 임금 수준은 OECD 평균의 60% 수준에 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일한 시간에 비해 벌이는 시원찮은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기획재정부와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지난해 기준 2천261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1983년 2천714시간, 1994년 2천453시간, 2003년 2천378시간, 2004년 2천366시간, 2005년 2천341시간, 2006년 2천294시간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2천시간을 넘었다.
이러한 근로시간은 다른 회원국들에 비해 최소 200시간, 최대 900시간 가량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에 이어 폴란드(1천953시간), 슬로바키아(1천947시간), 체코(1천914시간), 아이슬란드(1천822시간), 일본(1천808시간) 등도 연간 근로시간이 1천800시간이 넘어 비교적 노동강도가 센 나라로 분류됐다.
이어 미국(1천798시간), 그리스(1천783시간), 헝가리(1천780시간), 캐나다(1천733시간), 포르투갈(1천675시간), 영국(1천655시간), 스페인(1천621시간), 룩셈부르크(1천541시간)의 근로자들은 연간 1천500시간 이상 일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스트리아(1천474시간), 벨기에(1천461시간), 프랑스(1천457시간), 독일(1천353시간)의 근로자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았다.
이처럼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길지만 임금은 회원국 평균에도 못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노동강도에 비해 임금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내내 풀타임(full-time)으로 고용 상태를 유지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1인당 평균 임금은 2006년 우리나라가 연 2만5천379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3만9천743달러)의 64%에 불과했다.
스위스(6만384달러)가 회원국 중 유일하게 6만달러가 넘었고, 룩셈부르크(5만9천638달러), 노르웨이(5만6천629달러), 덴마크(5만6천598달러), 아일랜드(5만5천985달러)의 풀타임 근로자 평균 임금도 5만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
미국(4만7천688달러), 영국(4만7천248달러), 벨기에(4만5천401달러), 네덜란드(4만5천337달러), 스웨덴(4만86달러) 등은 4만달러 이상이었고, 핀란드(3만9천891달러), 프랑스(3만9천868달러), 독일(3만8천626달러), 일본(3만6천601달러), 이탈리아(3만1천995달러)의 근로자들도 연간 3만달러 이상의 임금을 받았다.
반면 스페인(2만7천735달러)과 그리스(2만5천934달러)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연간 3만달러에 못미쳤고, 포르투갈(1만8천455달러), 헝가리(1만2천97달러), 체코(1만1천292달러), 폴란드(1만121달러), 슬로바키아(8천675달러) 등은 우리나라보다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이 낮았다.
각국의 물가수준을 고려한 구매력지수(Purchasing Power Parity)를 기준으로 각국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우리나라가 1인당 평균 3만2천472달러로 OECD 평균(3만8천252달러)의 85% 수준으로 집계됐다.
pdhis959@yna.co.kr
===========================================================================================
노동강도란 근로시간만 가지고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근로시간이 많은 것과 양질의 노동 즉 생산성이 얼마나 높으냐? 또 품질은 얼마나 높으냐? 는 것은 별개라고 생각한다.그렇지만 임금은 엄연히 노동시간과 관계가 있고 양질의 노동을 끌어내는 것과도 상통한다고 본다.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것은 통계치도 좋지만 기업주 또는 CEO들이 얼마나 근로자를 가족같이 대하느냐가 양질의 노동을 끌어낼 수 있는가의 관건이라고 본다.
지금은 어느기업 할 것 없이 각사마다 노무관리를 하고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회사는 노무관리를 없애고 고충처리부를 더 늘리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근로자가 아무 걱정없이 근로에만 충실할 때야 말로 양질의 노동 즉 생산성과 품질이 동시에 따라주지 않을까?
노무관리로 근로자들을 압박하고 이간질 시켜 힘의 분열로 단체행동을 막고는 있지만 영원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또, 현재 CEO들이 노무를 믿고 걱정없이 기업운영도 가능하겠으나 근로현장이 근로자와 따로 돌아간다면 결국 문제는 발생되고 그 문제는 곪아 터지는 것이 곧 상식이 아닐까?
개혁적인 노무관리와 CEO mind를 변화시켜 이런 통계는 안나왔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