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뉴스

한국 상하위 10% 임금격차 4.51배..OECD 3위

by 올곧이 2008. 7. 14.

한국 상하위 10% 임금격차 4.51배..OECD 3위

기사입력 2008-07-14 07:07 |최종수정2008-07-14 10:33
저임금근로자 비중 25.4%..OECD 최고 수준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우리나라의 근로자 간 임금 격차가 헝가리.미국을 제외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우리나라 근로자 4명 중 1명은 중위 임금의 3분의 2에도 못 미치는 저임금 상태에 놓여있어 OECD 주요국 중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기획재정부와 OECD 등에 따르면 2005년 기준 우리나라의 임금 상위 10%에 있는 근로자의 임금은 하위 10% 근로자 임금의 4.51배로 집계됐다.

이런 근로자 간 임금 격차는 OECD 주요 회원국 중 3번째로 큰 것으로, 같은 해를 기준으로 헝가리(5.63배)와 미국(4.86배)만이 우리나라에 비해 높았다.

폴란드(4.31배)가 우리나라의 뒤를 이었고, 캐나다(3.74배), 아일랜드(3.57배), 스페인(3.53배), 영국(3.51배), 뉴질랜드(3.49배), 독일(3.13배), 호주(3.12배), 일본(3.12배), 프랑스(3.1배), 체코(3.01배) 등도 3배가 넘는 임금 격차를 보였다.

반면 네덜란드(2.91배), 덴마크(2.64배), 스위스(2.61배), 핀란드(2.42배), 스웨덴(2.33배), 노르웨이(2.21배) 등 주로 북유럽 국가들은 비교적 고.저임금층 간 격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3.39배였다.

전체 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중간 임금의 3분의 2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기준 우리나라가 25.4%로 OECD 주요국 중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에 이어 미국(24%), 폴란드(23.5%), 캐나다(22.2%), 영국(20.7%) 등도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20%가 넘었다. 이밖에 ▲아일랜드 17.6% ▲스페인 16.2% ▲일본 16.1% ▲호주 15.9% ▲독일 15.8% ▲뉴질랜드 11.5% ▲핀란드 7% ▲스웨덴 6.4% 등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높고, 고.저임금 근로자 간 임금 격차가 큰 것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 관계자는 "생산성이 높은 분야와 낮은 분야의 임금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데,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중소기업 간, 제조업.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면서 임금 격차 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크게 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1995∼2006년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연 평균 8.8%씩 증가한 데 비해 서비스업은 통신업종(11.8%)만 급속히 상승했을 뿐, 전체적으로는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1.8%에 불과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대기업(12.5%)과 중소기업(3.3%)의 노동생산성 격차도 9.2%포인트를 기록, 불균형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pdhis959@yna.co.kr
===============================================================================
나는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를 원하지는 않는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자본주의가 좋다고 생각한다.
다만 자본주의의 좋지못한 것중 하나가 공인받지 않은 사람이 또는 공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과분한 것이라면 나는 분명 옳지않다고 생각 한다.
 기득권에 의한 부의 축적이 갈수록 커져만 갈 때 기득권이 없더라도 이미 이뤄진 작은 부도 덩달아 커져야만 되는데 기득권이 없는 작은 부가 기득권이 많은 부에 흡수돼 뺏겨버리는 경우라면 이것은 빨리 개선을 해야할 것이다.
 자본주의 나라가 사회주의로 바뀌는 국가는 분명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세상에 무엇이던 과한 것은 부족함만 못하다는 속담이 생긴 이유를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래서 많은 부도 때로는 자선으로 덜어낼 필요가 있다.